기업을 경영하면서 다양한 경영자의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특히 최근의 경우에는 급격히 변하는 경영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습니다. 예로 “환율이 급격히 변한다면 우리 회사 손익은 어떻게 될지?” “최신 설비 도입을 통해 경영 효율화를 하면 영업이익에는 어떤 영향을 줄지?” 등 다양한 가정에 따른 경영성과 등을 사전에 알고 싶어집니다.
이런 경우 중요한 것은 경험 있는 전문가의 조언을 듣든, 내부의 관련 전공자를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문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이 문제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대응해야 한다는 것 또한 시간과 비용을 수반하게 됩니다.
앞으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는 방법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통적 모형
- 전문가 네트워크 모형
- 준전문가 모형
- 지식공학 모형
- 경험공동체 모형
- 지식내장 모형
- 기계생성 모형
본 장에서는 지식공학 모형에 대해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지식공학 모형의 내용은
첫째, 해당 전문분야에서 잘 문서로 만들어진 형식의 지식을 구분하고 이를 시스템화하는 것입니다.
둘째, 전문가의 머리에서 보석을 캐내는 것과 같이 “지식유도(knowledge elicitation)라는 과정을 거쳐 이를 시스템화하는 것입니다.
인간 전문가로부터 얻어낸 전문성은 체계와 형식이 갖추어지지 않고 경험에 기반을 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이 전문가의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 요소입니다. 전문가는 자기 지식이 ‘직감’, ‘직관’이라서 표현하기 힘들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자기성찰과 ‘지식공학자’의 도움을 거치면 전문성을 모형화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전문가의 머릿속에서 얻은 지식은 전문성 수준이 낮은 사람이나 일반인이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표현됩니다.
이렇게 표현된 전문성 모형은 해당 영역 안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문제에 적용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보편성을 갖추게 됩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는 시스템과 질의응답 형식을 통해 의사결정나무 과정(decision tree process)의 결과로 적정한 해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전문가를 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즉 지식공학 기반 시스템은 지식의 독점화, 비용부담을 낮추는 사회적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비즈캐스트(Biz-Cast)는 공인회계사, 기업신용평가전문가, 은행 여신심사전문가 및 통계 전문가의 지식을 체계화하여 다수에게 제공하는 지식공학 서비스입니다. 기존 전문가들이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사용자 입장에서 궁금하거나 질문하고 싶은 내용을 체계적으로 도출하여 시스템화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기업진단 및 평가, 기업 문제점에 대한 사전 인지 및 개선방안 도출 등을 지원합니다.